최근 마케팅 활동의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기반 마케팅은 우리가 사용하는 휴대기기, 인터넷으로부터 쿠키 데이터를 수집하여 소비자 행동을 분석한 뒤 특정된 타깃들을 대상으로 집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애플과 안드로이드가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을 발표하면서 모바일 광고 시장에 큰 이슈가 있었습니다.
애플은 앱 사업자가 사용자들의 동의 없이는 개인 정보 수집을 불가하도록 조치했고 안드로이드는 사업자가 앱 사용자로부터 수집하는 개인 정보를 수집, 공유,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조치했습니다.
이로써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사용자 앱 고유 번호(IDFA)를 추적/기반으로 광고 최적화를 하던 모바일 광고 시장은
큰 영향을 받았죠
이러한 개인 정보 정책으로부터 각종 업계들도 대응책을 내놓았고,
오늘은 이커머스 업계의 선두주자 아마존, 쇼피파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TV 광고는 예전부터 Mass 광고의 대표 매체였죠
송출을 하면 불특정 다수에게 제품/브랜드를 노출할 수 있었으니깐요
최근 광고가 디지털화되고 TV에 대한 수요가 줄면서 TV 광고 시장이 위축하는 듯했지만
TV가 디지털화되면서 CTV Connected TV시장 성장하자 CTV 광고 시장도 같이 성장하고 있어요
CTV 광고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CTV 광고를 활용하면 광고주들은 정교한 오디언스 타기팅 (Audience Targeting)을 통해 잠재 고객을 탐색하고 이에 도달할 수 있어요
기존 TV 광고와 비슷한 형태로 광고 시청 경험을 제공하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기존의 TV 광고보다 비용 대비 효율적이죠.
Connected TV는 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TV입니다. 제조사에서 인터넷 기능을 본체에 내장하여 스마트 TV로 출시하는 형태와
아마존의 Fire TV stick과 같은 외부 장치로 통해 기존의 TV를 CTV로 변환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TV와 CTV 광고시장은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라고 하는데, 미국에서는 60%가 넘는 가정에서 CTV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OTT 시청자들이 처음엔 PC나 모바일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점차 TV를 이용하는 비중이 늘고 있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글로벌 커넥티드 TV 광고 시장 규모는 2019년 말 전년 대비 약 40% 증가한 70억 달러 (한화 약 8조 1130억 원)에 달했으며,
오는 2021년에는 100억 달러(한화 약 11조 5850억 원)로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이커머스 업계 그리고 이커머스 플랫폼 속 입점사들 또한, 개인 정보보호 정책으로 인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런 환경 속, 이커머스의 선두주자 아마존과 쇼핑 파이가 성장하는 CTV 시장에 대응한 새로운 대응책을 가지고 왔습니다.
쇼피파이가 생소하신 분이 계시다면 국내에 있는 CAFE24라는 업체가 한국형 쇼피파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 편하실 겁니다.
(중소형 업체들이 온라인 몰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1. 쇼피파이
혹시 로쿠(ROKU)라는 기업을 아시나요?
국내에서는 생소한 기업이지만 북미에서는 탄탄한 입지를 가지고 있는 TV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입니다.
Shopify에는 수많은 중소/개인업체가 입점해있고 쇼피파이는 이들을 위한 셀러 친화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제 쇼피파이 입점 셀러는 로쿠 플랫폼을 활용하여 직접 TV 광고를 값싼 가격에 집행하고 결과를 확인/분석할 수 있게 되었어요
입점업체들은 예산, 시기 및 기간과 같은 캠페인 세부 정보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TV 스트리밍 광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로쿠는 입점 판매자의 스트리밍 광고 제작을 지원하기 위해 내부에 광고 스튜디오를 구축하기도 했습니다.
해당 광고 플랫폼을 사용한 한 업체에 따르면 Roku의 기술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광고에 노출된 시청자의 구매 고려도가 63% 증가
했다는 유의미한 성과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2. 아마존
아마존은 이미 2019 성장하는 CTV 광고 시장에 선제적인 대응을 한 바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Fire TV에 데이터 기반 영상 광고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더 트레이드 데스크'라는 기업과 'Dataju' 와 제휴했습니다.
아마존은 이에 그치지 않고 성장하는 서비스/CTV 광고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자체 브랜드 스마트 TV 시리즈를 10월 북미시장에 출시하고 자체 소프트웨어/하드웨어를 탑재한 스마트 TV를 출시하면서 추후 아마존이 필요한 기능과 플랫폼 역량을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축해 놓은 것 입니다.
이제 TV는 단순 TV를 넘어 스마트 홈을 컨트롤할 수 있는 주요 스마트 기기로 변모하였으니깐 고객의 일상생활을 최적화할 수 있는 아마존의 스마트 TV는 앞으로 아마존이 기획하고 있는 '스마트 홈 커버리지 확대'에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존은 CTV를 통해서 시청자의 시청 정보를 통해 확보된 양질의 시청/광고 데이터 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광고를 TV를 포함한 여러 지면에 송출할 계획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팬데믹 속 급성장한 메타버스와 NFT, 기업들의 사용법과 불안요소는? (1) | 2023.03.10 |
---|---|
[쿠키리스 시대의 시작①] 애플의 운영체제 업데이트에 페이스북은 왜 반발했을까? (0) | 2023.03.10 |
댓글 영역